728x90
반응형
간암(Hepatocellular carcinoma, HCC)은 한국에서 위암, 폐암과 함께 주요 암 중 하나이며, 특히 만성 간질환 환자에게서 잘 발생합니다. 간암은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어 조기 발견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. 그래서 간경변이나 만성 B/C형 간염 환자는 정기적인 초음파 + 혈액검사(AFP)를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해요.
✅ 1. 간암의 주요 원인
원 인 | 설 명 |
B형 간염 바이러스 (HBV) | 한국에서 가장 흔한 원인. 만성 감염이 간경변과 간암으로 진행 가능 |
C형 간염 바이러스 (HCV) | 최근 증가 추세. 치료 가능한 바이러스이지만 만성화되면 고위험 |
알코올성 간질환 | 장기 음주로 인한 간경변이 간암의 원인 |
비알코올성 지방간염 (NASH) | 비만, 당뇨, 고지혈증 등 대사증후군 관련 간질환도 원인 |
간경변증 | 대부분의 간암은 간경변 배경에서 발생 |
✅ 2-1. 간암의 병기 - TNM 병기체계
병 기 | 상 태 | 설 명 |
1기 (Stage I) | 단일 종양, 혈관 침범 없음 | 간 기능이 양호하면 간 절제술이나 고주파 치료 고려 가능 |
2기 (Stage II) | 단일 종양 + 혈관 침범 또는 2개 이상 종양 (모두 5cm 이하) |
수술 가능성이 있으나, 혈관 침범 여부에 따라 색전술 등 병행 치료 고려 |
3기 (Stage III) | 여러 개 종양 또는 주요 혈관 침범, 흉막/담낭 침윤 등 국소 진행성 |
수술보다는 TACE, 방사선, 면역항암제 등 병합 치료가 일반적 |
4기 (Stage IV) | 림프절 전이 또는 원격 전이(폐, 뼈 등) 존재 | 면역항암제 + 표적치료제 병용 등 전신 치료 중심, 생존 기간 연장 목적 |
✅ 2-2. 간암의 병기(기수) - 보통 BCLC (Barcelona Clinic Liver Cancer) 분류가 널리 사용됩니다
병 기 | 상 태 | 설 명 |
0 (Very early) | 단일 종양 <2cm, 간 기능 양호 | 수술/고주파 가능 |
A (Early) | 단일 또는 3개 이하의 작은 종양 | 절제, 고주파, 간이식 고려 |
B (Intermediate) | 다발성 종양, 간 기능은 유지 | TACE 주치 대상 |
C (Advanced) | 문맥침범, 림프절/원격 전이 | 전신약물 (면역항암제, TKIs) |
D (Terminal) | 간 기능 심각 저하, 생존예후 나쁨 | 보존적 치료 (증상 완화 위주) |

📍 BCLC vs. TNM 병기 대조표
BCLC 병기 | TNM 병기 (한국식 ‘1기~4기’) | 설 명 |
BCLC 0 (Very Early) | 1기 | 단일 2cm 이하, 간기능 양호, 증상 없음 |
BCLC A (Early) | 1~2기 | 단일 또는 3개 이하 종양, 간기능 좋음 |
BCLC B (Intermediate) | 3기 | 다발성 종양, 문맥 침범 없음 |
BCLC C (Advanced) | 3~4기 | 혈관 침범, 림프절 또는 원격 전이 |
BCLC D (Terminal) | 4기 | 간기능 나쁨, 전신 상태 불량, 생존기간 짧음 |
✅ 간암 TNM 병기 분류 (AJCC 8판 기준)
🔹 T (Tumor): 종양의 크기와 침범 정도
구분정의
구 분 | 정 의 |
T1a | 단일 종양, ≤ 2cm, 혈관 침범 없음 |
T1b | 단일 종양, > 2cm, 혈관 침범 없음 |
T2 | 단일 종양이 혈관 침범 있거나 2개 이상 종양 중 하나라도 > 2cm |
T3 | 2개 이상 종양 중 적어도 하나가 > 5cm (주요 혈관 침범은 없음) |
T4 | 주요 혈관 침범(예: 간문맥, 간정맥) 또는 인접 장기 침범(담낭, 복벽 등) |
🔹 N (Nodes): 림프절 전이 여부
구 분 | 정 의 |
N0 | 국소 림프절 전이 없음 |
N1 | 간문부, 간 주변 림프절 전이 있음 |
🔹 M (Metastasis): 원격 전이 여부
구 분 | 정 의 |
M0 | 원격 전이 없음 |
M1 | 원격 전이 있음 (예: 폐, 뼈, 복막 등) |
✅ 3. 간암의 치료 방법
치 료 | 대 상 | 특 징 |
간 절제술 | 기능 양호, 종양 국한 | 조기 간암의 가장 확실한 치료 |
간이식 | 소수 병변, 간기능 나쁠 때 | 생존율 높지만 공여자 필요 |
고주파열치료(RFA) | 3cm 이하 단일병변 | 간기능 좋은 조기 간암 대상 |
TACE (색전술) | 절제 어려운 중간 병기 | 혈류 차단 + 항암제 주입 |
방사선 치료 (SBRT) | RFA 불가 시 대체 | 간기능 제한적이어야 시행 가능 |
표적치료제 | 진행성 간암 | 예: 렌바티닙(Lenvatinib), 소라페닙(Sorafenib) |
면역항암제 | 진행성 간암 | 예: 아테졸리주맙+베바시주맙 병용요법 |


🔴🟢🟡 결론
- 조기 발견(1~2기) 시 수술, 고주파, 간이식 등으로 완치 가능
- 면역항암제 + 표적항암제 병용 치료 등으로 최근 진행성 간암의 생존률도 개선 중
- 정기 검진을 통해 고위험군(간염/간경변 환자)에서 조기 진단 가능성 증가
간암은 생존률이 낮은 편이지만,
조기에 발견하면 생존률이 높아지고,
신약과 면역치료의 발전으로 예후는 점점 좋아지고 있습니다.
본 정보는 일반적인 의학 정보로, 개인의 구체적인 상황에 대해서는 반드시 전문의의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.
728x90
반응형
'Health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🥵 “작은 상처가 큰 병이 된다? 여름철 연조직염 주의보!” (2) | 2025.07.02 |
---|---|
"다리에 핏줄이 울퉁불퉁? 그냥 피로 때문일까요?" (20) | 2025.07.01 |
😵💫 더위만큼 무서운 여름 불청객, 유행성 눈병! (6) | 2025.06.26 |
화상의 종류와 응급처치 방법 (0) | 2025.06.25 |
대장내시경과 장 정결제 (3) | 2025.06.23 |